경제

재테크의 기본, 단리와 복리 차이 예시로 완벽 비교 (2025 최신판)

j.geean 2025. 4. 30. 22:04
728x90

단리와 복리 차이, 연 5% 이율이면 얼마나 다를까? (그래프 포함)

투자 상품을 고를 때, 단리인지 복리인지에 따라 최종 수익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이율이 같으면 수익도 비슷하겠지”라고 생각하지만, 이자 계산 방식이 다르면 결과는 완전히 달라집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연 5% 이율을 기준으로 단리와 복리의 개념, 계산 방식, 수익 차이를 실제 예시와 그래프로 비교해 정리하겠습니다.

 


1. 단리란?

단리는 매년 "원금"에만 고정된 이자가 붙는 방식입니다.
이자는 매년 일정하게 발생하며, 발생한 이자를 다시 투자하지 않는 구조입니다.

■ 특징

  • "매년" 같은 금액의 이자 발생
  • 수익 예측이 쉽고 간단
  • 단기 예금, 일부 적금 상품에서 사용

■ 예시

100만 원을 연 5% 단리로 10년 투자하면
→ 매년 이자 5만 원
→ 총 이자: 5만 원 × 10년 = 50만 원
→ 최종 금액: 150만 원


2. 복리란?

복리는 "이자"에도 다시 이자가 붙는 방식입니다.
즉, 매년 발생한 이자를 원금에 합산하여 다음 해의 이자 계산 기준으로 삼습니다.
시간이 갈수록 수익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효과가 있습니다.

■ 특징

  • 발생한 이자를 재투자
  • 수익 성장 속도가 빠름
  • 장기 투자에 유리
  • 펀드, ETF, 연금, 배당재투자 전략 등에서 활용

■ 예시

100만 원을 연 5% 복리로 10년 투자하면
→ 원리금 = 100만 원 × (1 + 0.05)^10 ≒ 1,628,895원
→ 총 이자: 약 62만 8천 원


3. 연 5% 기준, 단리 vs 복리 누적 수익 비교 그래프

아래 그래프는 100만 원을 기준으로 연 5% 이율로 10년간 투자했을 때
단리와 복리의 누적 금액 변화를 시각적으로 보여줍니다.

■ 그래프 해석

  • 단리는 매년 5만 원씩 일정하게 증가
  • 복리는 시간이 지날수록 곡선이 가파르게 상승 → 수익의 차이 커짐

4. 수익 비교 표

투자 기간단리 누적 금액복리 누적 금액차이
0년 1,000,000원 1,000,000원 0원
5년 1,250,000원 1,276,282원 약 26,282원
10년 1,500,000원 1,628,895원 약 128,895원

✔ 정리

  • 단기적으로는 큰 차이가 없어 보일 수 있으나
  • 10년이 넘는 시점부터는 복리의 위력이 본격적으로 드러남
  • 투자 기간이 길수록 수익 격차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

5. 단리 vs 복리 요약 비교표

항목단리복리
이자 계산 방식 원금 기준 고정 이자 원금 + 이자에 이자가 붙음
수익 성장 속도 일정 시간이 갈수록 가속
적합한 투자 방식 단기 예금, 확정금리 상품 장기 투자, 복리형 적금, 펀드, 연금 등
핵심 포인트 예측 가능, 단기 적합 재투자 필수, 장기 투자 시 효과 극대화

6. 마무리 정리

단리는 단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 자산을 불리고 싶다면 반드시 복리 개념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젊은 나이에 투자나 적금을 시작하는 경우,
단순히 금리만 보는 것이 아니라 복리 구조를 갖춘 상품인지도 꼭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728x90